다 잘된 거야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괜찮아, 잘 될 거야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후렴구의 첫 소절이 '괜찮아. 잘 될 거야'인 이한철의 2005년 노래에 대한 내용은 슈퍼스타(이한철) 문서
슈퍼스타(이한철)번 문단을
슈퍼스타(이한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다 잘된 거야 (2021)
Tout s'est bien passé
Everything Went Fine
장르
드라마
감독
각색
프랑수아 오종, 필리페 피아조
원작
엠마뉘엘 베르네임 - 소설 《다 잘된거야》
제작
에릭 알트메이어, 니콜라스 알트메이어
주연
소피 마르소, 앙드레 뒤솔리에, 제랄딘 팔리아스, 샬럿 램플링
촬영
히샤메 알라우이
편집
로르 가르데트
제작사
파일:프랑스 국기.svg 만다린 프로덕션, FOZ
수입사
배급사
파일:프랑스 국기.svg 디아파나 필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더쿱, 노바미디어(제공), 비케이시네윈(제공)
개봉일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2021년 7월 7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1년 9월 22일
파일:부산국제영화제 아이콘.svg 2021년 10월 8일
파일:금마장 로고.svg 2021년 11월 1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9월 7일
화면비
1.85:1
상영 시간
113분
월드 박스오피스
$2,211,500
대한민국 총 관객 수
6,490명
상영 등급

1. 개요
2. 원작
3. 예고편
4. 시놉시스
5. 등장인물
6. 줄거리
7. 평가
7.1. 평론가 별점
8. 흥행
8.2. 기타 국가
9. 기타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프랑스의 2021년 드라마 영화. 감독은 프랑수아 오종이며, 소피 마르소, 앙드레 뒤솔리에, 제랄딘 팔리아스, 샬롯 램플링 등이 출연하였다. 제74회 칸 영화제 경쟁 초청작.

한국에서는 2021년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괜찮아, 잘 될 거야'라는 제목으로 먼저 상영된 바 있고, 2022년 9월에 정식으로 개봉했다.


2. 원작[편집]


이 영화의 원작은 엠마뉘엘 베르네임의 2013년 동명의 소설 '다 잘된 거야'이다. 한국에서는 2016년에 이원희 역으로 출간되었다.


3. 예고편[편집]


예고편(부산국제영화제 버전)

30초 예고편

예고편(우리들의 조금 다른 작별일지)


4. 시놉시스[편집]


“도와줘 끝낼 수 있게”

갑자기 쓰러진 아빠 ‘앙드레’로부터

자신의 죽음을 도와 달라고 부탁받은 딸 ‘엠마뉘엘’.

끝을 선택하고 시작된 조금 다른 작별에 관한 이야기를 담은

프랑수아 오종 감독의 품위 있는 마스터피스

출처: 네이버 영화



5. 등장인물[편집]




6. 줄거리[편집]




7.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206640|
기자·평론가
6.33 / 10
관람객
7.45 / 10
네티즌
7.62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6.33 / 10
관람객
7.45 / 10
네티즌
7.62 / 10
]]
평점 7.45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5.7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98%






파일:롯데시네마 로고 영문 백색.svg
평점 평점 / 10




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
평점 평점 / 10



MRQE
평점 평점 / 100













7.1. 평론가 별점[편집]


퇴폐적 죽음에서 존엄한 죽음으로 가는 프랑수아 오종의 긴 여정

- 김소미 (★★★)


함께 예습하는 애도의 시간, 어떻게 죽을 것인가=어떻게 살 것인가

- 송경원 (★★★)


논쟁적인 소재를 논쟁적이지 않게

- 이용철 (★★★)



8.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최초개봉일)$(세계누적)(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미정미개봉미정
미정미개봉미정
미정미개봉미정


8.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304명미집계2,863,000원
1주차2022-09-07. 1일차(수)534명3,459명14위5,073,000원33,376,098원
2022-09-08. 2일차(목)576명17위5,143,500원
2022-09-09. 3일차(금)464명19위4,553,900원
2022-09-10. 4일차(토)456명18위4,720,800원
2022-09-11. 5일차(일)518명19위5,109,299원
2022-09-12. 6일차(월)667명17위6,531,999원
2022-09-13. 7일차(화)244명21위2,243,600원
2주차2022-09-14. 8일차(수)247명1,460명24위2,171,700원13,021,100원
2022-09-15. 9일차(목)239명28위1,988,800원
2022-09-16. 10일차(금)193명28위1,741,500원
2022-09-17. 11일차(토)256명30위2,467,800원
2022-09-18. 12일차(일)190명31위1,735,900원
2022-09-19. 13일차(월)135명33위1,268,200원
2022-09-20. 14일차(화)200명27위1,647,200원
3주차2022-09-21. 15일차(수)119명495명42위1,100,120원4,128,920원
2022-09-22. 16일차(목)65명55위480,000원
2022-09-23. 17일차(금)66명53위508,000원
2022-09-24. 18일차(토)91명57위777,500원
2022-09-25. 19일차(일)42명56위413,500원
2022-09-26. 20일차(월)65명51위484,800원
2022-09-27. 21일차(화)47명59위365,000원
4주차2022-09-28. 22일차(수)66명383명42위426,000원3,149,199원
2022-09-29. 23일차(목)51명61위397,500원
2022-09-30. 24일차(금)34명60위241,500원
2022-10-01. 25일차(토)74명40위573,100원
2022-10-02. 26일차(일)68명44위658,099원
2022-10-03. 27일차(월)81명33위781,500원
2022-10-04. 28일차(화)9명74위71,500원
합계누적관객수 6,490명, 누적매출액 59,922,817원[1]


8.2. 기타 국가[편집]




9. 기타[편집]



10. 둘러보기[편집]





[1] ~ 2022/12/13 기준

관련 문서